한 번쯤은 삶아본 적 있을 거다. 꿉꿉한 냄새, 누렇게 변한 수건, 애매한 찝찝함. 결국엔 ‘삶아야 살균되지 않을까’ 싶은 마음. 나도 그렇게 생각했다. 근데 어느 순간부터 수건이 딱딱해지고, 냄새는 오히려 더 쉽게 배고, 피부에 올랐던 트러블이 떠올랐다. 수건을 삶는 게 오히려 더 많은 문제를 만든다는 걸 알게 된 건, 꽤 시간이 지나서였다.
수건, 왜 삶으면 안 되는 걸까
예전엔 몰랐다. 물 끓이고 수건 넣으면 뭔가 ‘깨끗해지겠지’ 하는 단순한 생각. 그런데 몇 번 삶다 보니 수건이 이상하게 거칠어졌다. 원래 부드럽던 수건인데, 물기 닦을 때 얼굴이 따끔거리는 느낌. 그제야 이상하단 걸 눈치챘다. 수건은 보통 면 100%다. 면은 고온에 약하다. 끓는 물에 몇 번 담그면 섬유가 수축되고, 표면이 거칠어져서 흡수력도 떨어진다. 거기다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섬유 조직 자체가 약해지니까, 빨리 해지고 냄새도 더 잘 밴다. 나는 특히 욕실에 수건을 걸어두는 습관이 있는데, 한 번 삶은 이후부터 수건이 잘 마르지 않는 느낌이 들었다. 이건 실제로 삶으면서 섬유가 손상돼 통기성이 떨어졌기 때문이었다. 처음엔 물 잘 안 빠지는 건가 싶었는데, 알고 보니 내가 만든 문제였다. 결국 삶는다고 위생이 해결되는 게 아니고, 오히려 수건의 수명을 확 줄이는 셈이 된 거다.
냄새나는 수건, 삶지 않고도 해결할 수 있다
문제는 냄새다. 아무리 깨끗이 빨아도 어느 순간 꿉꿉한 냄새가 올라온다. 나도 이게 너무 싫어서 삶기를 시작했던 건데, 나중에 알게 됐다. 냄새의 원인은 ‘세균’보다 ‘세제 잔여물’이라는 걸. 세제를 많이 쓰면 때가 잘 빠질 거라 생각했는데, 오히려 그게 냄새의 주범이었다. 세제가 제대로 헹궈지지 않으면, 잔여물이 섬유 사이에 남아서 냄새와 세균의 번식지가 된다. 삶는다고 이게 해결되지 않는다. 냄새 제거에는 뜨거운 물로 세탁 + 세제의 양 조절 + 식초나 베이킹소다 활용이 더 효과적이었다. 나는 특히 세탁할 때 식초 한 뚜껑 넣는 걸로 바꾼 후부터 수건 냄새가 거의 사라졌다. 삶는 것보다 간단하고, 효과도 좋았다. 그리고 진짜 중요한 건 ‘건조’. 수건은 햇볕 아래에서 빠르게 말리는 게 가장 좋다. 습기 많은 욕실에서 마르지 않은 수건은, 무조건 냄새가 나게 돼 있다. 요즘엔 아예 세탁기 탈수 후 바로 바람 잘 드는 창가에 수건을 걸어둔다. 햇살이 없더라도 ‘빠른 건조’만 돼도 냄새는 거의 안 난다.
오래 쓰고 싶은 수건이라면, 관리가 중요하다
수건은 자주 바꾸라는 말도 많지만, 난 솔직히 아끼는 수건 몇 개는 오래 쓰고 싶었다. 좋은 면 수건은 가격도 제법 나가고, 감촉도 다르다. 근데 그걸 몇 번 삶고 나면 처음의 그 부드러움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.
그래서 요즘은 이렇게 관리하고 있다.
- 세제는 최소한으로, 헹굼은 최대한으로
- 표백제는 금지, 대신 식초로 잡내 제거
- 세탁은 40~60도 정도의 온수
- 건조는 빠르게, 되도록 햇볕에서
- 한 번 쓰고 바로 세탁, 욕실 내 걸어두지 않기
그리고 수건에 섬유유연제는 쓰지 않는다. 향기는 좋을지 몰라도, 흡수력이 떨어져서 실용성이 확 낮아진다. 이런 습관들이 자리 잡고 나니, 수건을 삶아야겠다는 생각이 아예 사라졌다. 오히려 ‘그땐 왜 그랬을까’ 싶을 정도로.
살균하고 싶다는 마음은 이해한다. 나도 그랬다. 하지만 삶는다고 다 해결되진 않는다. 오히려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. 중요한 건 습관이다. 수건을 ‘잘 쓰는 법’, ‘잘 세탁하는 법’, 그리고 ‘잘 말리는 법’. 이 세 가지만 지키면, 수건은 삶지 않아도 충분히 깨끗하고, 보송하게 쓸 수 있다. 수건을 세탁기로 막 빨아서 건조기에 바로 돌려버리면서 수건을 부드럽게 유지하는 건 정말 어렵다고 생각했었다. 수건을 잘 관리해서 쓰면 그것또한 돈을 알뜰하게 절약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여름철 세탁기 관리법, 통세척 (0) | 2025.08.07 |
---|---|
영양학자가 추천하는 피해야 할 조합, 단호박 다이어트 섭취법 (0) | 2025.08.06 |
중장년층 단호박 건강 다이어트(당뇨, 고혈압에도 좋은 이유) (0) | 2025.08.04 |
고구마, 단호박, 감자 다이어트 식품 포만감 비교 (0) | 2025.07.29 |
입주청소 망한 후기, 입주청소 고르는 팁 (0) | 2025.07.26 |